본문 바로가기
강의록 노트

2022년 2회차 직업상담사 2급 실기연습문제

by 더퍼플베리 2024. 5. 22.
반응형

 

01. 벡의 인지치료에서 인지적 오류의 유형 4가지를 쓰시오.

더보기
[정답]
 

- 흑백논리

- 선택적 추상화

- 과잉 일반화

- 개인화


02. 직무분석 방법 중 결정적 사건법의 단점을 3가지 쓰시오.

더보기
[정답]
 

- 응답자의 주관적 의견 개입으로 인해 사건이 왜곡될 수 있다.

- 직무를 전체적으로 반영하지 못하고 일부만 강조될 수 있다.

- 정확한 조사를 위해 특별히 훈련받은 사람이 필요하다.


03. 한국 표준직업분류에서 직업으로 보지 않는 활동 6가지를 쓰시오.

더보기
[정답]
 

- 이자, 임대료 등의 수입

- 연금법, 고용보험법 등에 의한 수입

- 경마, 경륜, 복권 등에 의한 수입

- 예금 출금이나 보험금 수취 등의 활동

- 가사활동

- 사회수용시설 수용자의 시설 내 결제활동

- 수형자의 강제노동


04. 부정적인 심리검사 결과가 나온 내담자에게 검사 결과를 통보하는 방법 4가지를 쓰시오.

더보기
[정답]
 

- 내담자가 충격을 받지 않도록 주의하여 설명한다.

- 전문적 용어나 통계적 숫자보다는 일상적인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한다.

- 적절한 해석과 함께 검사 결과를 설명한다.

- 검사결과가 유출되지 않도록 비밀보장에 유의한다.


05. 한국 표준산업분류 개요 중 산업, 산업활동, 산업활동의 범위, 산업분류의 정의를 쓰시오.  

더보기
[정답]
 

산업 - 유사한 산업활동에 종사하는 생산단위의 집합

산업활동 - 각 생산단위가 노동, 자본, 자원 등을 투입하여 재화 또는 서비스를 생산, 제공하는 일련의 활동과정

산업활동의 범위 - 영리, 비영리 활동은 포함하지만 가사활동은 포함되지 않는다.

산업분류 - 생산단위가 수행하는 생산활동을 그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한 것


06. 심리검사의 사용목적 3가지를 쓰고 설명하시오.

더보기
[정답]
 

개인적 기능 - 내담자의 자기이해를 증진시키고, 성공 가능성이 높은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다.

예측적 기능 - 내담자의 성격이나 적성 등을 파악하여 수행능력을 예측한다.

진단적 기능 - 내담자의 문제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한다.

조사적 기능 - 특정 집단의 성향을 조사하여 집단의 특징을 규명한다.


07. 심리검사에서 준거 타당도 계수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가지만 쓰고, 각각에 대해 설명하시오.

더보기
[정답]
 

1. 표집오차 - 표본의 크기가 너무 작거나 모집단을 대표하지 못할 경우 준거 타당도가 낮아진다.

2. 범위제한 - 수집한 자료들이 전체 범위를 포괄하지 않고 일부에만 해당되는 경우 준거 타당도 계수에 영향을 미친다.

3. 준거측정치의 타당도 - 준거를 측정하는 도구가 얼마나 해당 준거를 잘 반영하고 있는지가 준거 타당도 계수에 영향을 미친다.

4. 준거측정치의 신뢰도 - 실제 준거의 신뢰도가 낮으면 준거타당도에 영향을 미친다.


08. 한국직업사전의 부가 직업정보 중 직무기능은 자료, 사람, 사물과 연관된 특성을 나타낸다. 사람과 관련된 세부영역 5가지를 쓰시오. (단, 수준에 해당하는 숫자는 기재할 필요 없음.)

더보기
[정답]
 

자문

협의

교육

감독

오락제공

설득

말하기-신호

서비스제공


09. 심리검사 사용의 윤리적 문제와 관련하여 주의하여야 할 사항을 6가지만 쓰시오.

더보기
[정답]
 

- 심리검사가 시대에 뒤떨어질 수 있음을 인정한다.

- 피검사자가 이해하기 쉬운 용어를 사용한다.

- 피검사자의 비밀을 보장한다.

- 검사의 결과는 목적에 맞게 제한적으로 사용하여야 한다.

-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검사를 활용하여야 한다.

- 적절한 훈련을 받은 사람이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.


10. 표준화를 위해 수집된 자료가 정규분포에서 벗어나는 것은 표집 절차의 오류에 원인이 있을 수 있다.

해결 방법 3가지를 쓰고, 각각 설명하시오.

더보기
[정답]
 

1. 완곡법 - 검사결과가 정규분포와 비슷한 모양을 갖는 경우, 점수를 더하거나 빼서 정상분포의 모양이 되도록 하는 방법

2. 절미법 - 꼬리가 작은 경우 분포 곡선에서 한쪽으로 치우친 편포의 꼬리를 잘라내는 방법

3. 면적 환산법 - 각 점수의 백분위를 찾아, 이에 해당하는 Z점수를 찾는 방법


11. 겔라트가 제시한 직업 의사 결정의 상담과정 8단계를 순서대로 쓰시오.

더보기
[정답]
 

1. 목표의식

2. 정보수집

3. 대안의 열거

4. 대안의 결과 예측

5. 대안의 실현 가능성 예측

6. 가치평가

7. 의사결정

8. 평가 및 재투입


12. 형태주의 상담의 목표 6가지를 쓰시오.

더보기
[정답]
 

- 자기 인식을 증가시키도록 한다.

- 자신의 경험에 대한 주체가 자신이라는 태도가 형성되도록 한다.

-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으면서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잇는 기술을 개발하고 가치관을 형성시킨다.

- 모든 감각이 더 잘 인식되도록 한다.

- 행동의 결과가 수용되며, 행동을 결정할 책임이 자신에게 있음을 인정하게 된다.

- 외적 지지에서 내적 지지로 바꾸도록 돕는다.

- 타인에게 요구하거나 도움을 청할 수 있게 되며, 동시에 타인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


13. 윌리암슨의 직업상담 문제유형 4가지를 쓰고 설명하시오.

더보기
[정답]
 

1. 진로 무선택 - 직업을 선택해 본 적이 없거나, 어떤 것을 선택할 지 모르는 유형

2. 불확실한 선택 - 진로를 선택하였으나 이에 대한 확신이 없는 유형

3. 흥미와 적성의 불일치 - 자신의 흥미나 적성에 모순되는 직업을 선택한 유형

4. 현명하지 못한 선택 - 자신의 특성과 흥미 등을 고려하지 않고, 특정 직업의 특권이나 갈망으로 직업을 선택한 유형


14. 인지적, 정서적, 행동적 상담의 기본개념인 ABCDEF의 의미를 쓰시오.

더보기
[정답]
 

A - 선행사건

B - 비합리적 신념

C - 결과

D - 논박

E - 효과

F - 새로운 감정


15. 직업상담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 5가지를 쓰시오.

더보기
[정답]
 

- 직업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전달하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.

- 내담자에 관하여 파악할 수 있는 통찰력이 있어야 한다.

- 직업 상담에 관한 지식 및 상담 기술이 있어야 한다.

- 편견 없이 내담자를 대할 수 있어야 한다.

- 내담자를 존중하는 태도를 갖추어야 한다.

- 도덕성을 갖추어야 한다.

- 내담자의 문제 해결을 도와줄 수 있는 심리학적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.


16. 직업상담에서 내담자 이해를 위한 질적 측정도구 3가지를 쓰고 설명하시오.

더보기
[정답]
 

1. 자기효능감 척도 - 어떤 과제를 어느 정도 수준으로 수행할 수 있는지 스스로 판단하는 척도

2. 제노그램 - 내담자의 가계도를 통해 직업에 대한 인식과 흥미를 파악할 수 있다.

3. 직업카드 분류 - 직업카드를 선호, 혐호, 미결정으로 분류하여 내담자의 직업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다.

4. 역할놀이 - 내담자에게 업무 상황을 제시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관찰하여 내담자의 직업 관련 기술을 파악할 수 있다.


17. 아래 주어진 표를 보고 다음을 계산하시오. (단위 : 천명)

1. 30 ~ 50세 고용률(%)을 계산하시오.

2. 30 ~ 50세 고용률을 29세 이하 고용률과 비교하여 분석하시오.

구분 15~19세 20~24세 25~29세 30~50세
생산가능인구 3,284 2,650 3,846 22,982
경제활동인구 203 1,305 2,797 17,356
취업자 178 1,181 2,598 16,859
실업자 25 124 199 497
비경제활동인구 3,082 1,346 1,049 5,627
더보기
[정답]
 

1. 고용률

- 고용률 = 취업자 수 / 생산 가능 인구 수 x 100

- 16,859천 명 / 22,982천 명 x 100 = 73.4%

 

2. 비교

- 29세 이하 고용률 = 3,957천 명 / 9,780천 명 x 100 = 40.5%

- 30 ~ 50세의 고용률이 29세 이하의 고용률보다 높다. 이는 30 ~ 50세의 경우 가정의 경제를 책임지는 가장이 많아 열악한 환경에서도 계속 일을 하는 반면, 29세 이하는 학생이나 취업을 준비하는 인원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.


18. 노동수요 Ld = 5,000 - 2W이고, 1시간당 임금이 W = 2,000원일 때 노동수요의 임금 탄력성의 절댓값과 근로자의 수입이 얼마인지 계산하시오.

더보기
[정답]

 

 

Ld = 5000 - 2W, -> 그래프의 기울기는 -2 이다.

Ld = 5000 -2 * 2000 = 1000

-2 * ( 2000 / 1000 ) = -4

임금 탄력성 = 4

 

근로자의 수입 = 노동수요 * 임금

( 5000 - 2 * 2000) * 2000 = 2,000,000원


위의 내용은 moducbt.com에 있는 문제를 개인 공부 목적으로 정리한 것으로 실제 기출문제는 아님을 밝혀둡니다.

반응형

댓글